|
 |
 |
 |
 |
 |
사용자의 실수나 파일시스템 손상으로 인하여 데이터가 삭제/손상 문제가 발생한 이후 가장 치명적인 문제가 되는 것은 기존 데이터정보 위에 덮어씌우기가 되는 것입니다. 즉, 문제가 발생한 드라이브에 파일이 저장하거나 C드라이브의 경우 OS 운영과 인터넷 사용에 따라 임시파일이 지속적으로 생성 저장되어 기존의 삭제/손상된 데이터영역을 덮어씌우기가 됨으로써 복구 시 전체 데이터의 복구가 불가능해지거나 파일명, 파일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
데이터손실 문제 유형 |
|
조치 방안 |
|
1. 휴지통, 바로 삭제(Shift + Del) |
|
1. 원인: 사용자의 실수, 조작오류..
2. 조치 방안
a. 문제의 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b. OS가 돌아가는 저장장의 파일을 삭제한 것이라면, 사용을 즉시 중단하여야 합니다.
c.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복구를 시도하고자 한다면 데이터복구 프로그램을 구매하여
c. 진행하되, 2번 항목에 해당될 경우 타 PC에 문제의 드라이브를 연결하여야 합니다.
d. 중요한 자료거나 데이터손실 우려가 예상된다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서비스
d. 받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
|
2. 포멧, 빠른 포멧 |
|
1. 원인: 사용자의 실수, 조작오류..
2. 조치 방안
a. 문제의 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b.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복구를 시도하고자 한다면 데이터복구 프로그램을 구매하여
c. 진행하되, 타 PC에 문제의 드라이브를 연결하여 복구하여야 합니다.
c. 중요한 자료거나 데이터손실 우려가 예상된다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서비스
d. 받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
|
3. 포멧 후 OS 재설치 |
|
1. 원인: 사용자의 실수, 조작오류..
2. 조치 방안
a. 문제의 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아야 하며 PC의
a. 사용을 즉시 중단하여야 합니다.
b.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복구를 시도하고자 한다면 데이터복구 프로그램을 구매하여
c. 진행하되, 타 PC에 문제의 드라이브를 연결하여 복구하여야 합니다.
c. 중요한 자료거나 데이터손실 우려가 예상된다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서비스
d. 받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
|
4. 파티션 삭제, 파티션 재설정 |
|
1. 원인: 사용자의 실수, 조작오류..
2. 조치 방안
a. '포멧하세요'라는 메세지가 나오더라도 포멧을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b. 복구율도 높으며, 단순 파티션 삭제라면 원상 회복도 가능합니다.
c.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복구를 시도하고자 한다면 데이터복구 프로그램을 구매하여
c. 진행하되, 타 PC에 문제의 드라이브를 연결하여 복구하여야 합니다.
d. 중요한 자료거나 데이터손실 우려가 예상된다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서비스
d. 받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
|
5. CHKDSK 실행으로 인한 파일 변형 |
|
1. 원인: 파일 시스템 오류
2. 조치 방안
a. 문제의 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b. 중요한 자료거나 데이터손실 우려가 예상된다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서비스
b. 받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
|
6. 바이러스 |
|
1. 원인: 바이러스 감염
2. 조치 방안
a. 문제의 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b. 바이러스를 치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야 합니다.
|
|
|
|
 |
 |
물리적 고장 증상은 저장장치가 기계적인 고장으로 인하여 데이터를 읽을 수 없게 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고장난 자동차를 계속 가동하면 더 큰 문제가 발생되는 것처럼 저장장치 또한 이러한 물리적 문제가 발생된다면 전원연결을 차단하고 전문가에게 데이터복구를 의뢰하셔야 합니다. 물리적 문제는 개인이 직접 하실 수 있는 사항이 아니며, 저장장치를 뜯거나 임의적으로 복구를 시도할 경우 복구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으며, 데이터복구업체를 선정함에 있어서 시설과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를 신중한 찾아보셔야 합니다.
|
|
|
데이터손실 문제 유형 |
|
조치 방안 |
|
1. 베드섹터 |
|
1. 원인: 저장장치 노후화로 인한 고장, 저장장치 불량
2. 증 상
정상적 사용은 가능한 경우 특정 폴더, 파일로의 접근이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해지다가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이며 일반인의 경우 바이러스 등에 의한 소프트웨어적 증상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베드섹터로 인해 부팅은 물론 타 PC에 연결시 함께 부팅을 할 수 없는 경우등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3. 조치 방안
초기 증상이 발견된 경우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로 백업을 받아야 하며 문제가 발생된 이후라면 전문 데이터복구 업체에 의뢰하여야 합니다. 평소 정기적으로 베드섹터 관리 툴을 통해 디스크의 상태를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
2. 소음발생 (‘틱틱틱’) |
|
1. 원인: 헤드고장, 플래터 스크레치 등..
2. 증 상
저장장치에 전원을 연결할 경우 규칙적으로 ‘틱틱틱’ 하는 소음이 발생하며 데이터를 읽어 들이지 못하는 증상으로 헤드가 플래터의 정보를 읽지 못하면서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3. 조치 방안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전문 데이터복구 업체에 의뢰하여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경우 2차적인 추가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
|
3. 하드인식 불가 |
|
1. 원인: PCB 불량
2. 증 상
HDD가 바이오스나 디스크관리자에서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모터는 돌아가거나 아예 동작하지 않는 문제입니다.
3. 조치 방안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전문 데이터복구 업체에 의뢰하여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경우 2차적인 추가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
|
4. 모터 미작동 |
|
1. 원인: 모터 고장, PCB 고장
2. 증 상
모터불량으로 인해 HDD가 구동하지 않거나 PCB 고장으로 인하여 전원공급이 차단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3. 조치 방안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전문 데이터복구 업체에 의뢰하여야 합니다.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경우 2차적인 추가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