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1. ICE Backup 프로그램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아래 안내에 따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2. ICE Backup 프로그램 삭제: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등을 이용하거나 모든프로그램에서 삭제합니다.
|
|
|
 |
 |
아이스백업(ICE Backup) 파일을 다운받아 실행합니다.
|
|
 |
 |
 |
설치를 원하실 경우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
|
 |
 |
 |
사용권 계약내용을 읽어본 후 사용권 계약서의 조건에 동의함을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
 |
 |
 |
사용자 이름, 조직, 일련번호를 입력한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일련번호에는 @,#,$,% 등의 특수 문자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특수 문자는 혼동될 수 있는 숫자(0,1)와 영문자(I,O)를 대체한 것입니다.
|
|
 |
 |
 |
설치 위치를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참고: 서비스 지원을 위해 디폴트폴더에 설치할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
|
 |
 |
 |
설치 설정 사항을 검토한 후 설치를 클릭하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
|
 |
 |
 |
[시작] [모든 프로그램]
[iceBackup]
[Uninstall iceBackup]
|
|
 |
|
|
|
|
1. 화면구성: 설치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시면 첫화면에 대한 안내입니다.
2. 아이콘 설명: 주요 작업은 아이콘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
|
|
 |
 |
메뉴: [파일], [편집], [도움말] 등 기본 설정 정보 메뉴
[파일]
새 작업(N): 새로운 백업 작업을 설정합니다.
작업 수정(M): 기존 설정된 백업 작업을 수정합니다.
작업 삭제(R): 기존 설정된 백업 작업을 삭제합니다.
새로 고침(F): 잘못 보여질 수 있는 백업된 폴더 및 파일을 폴더 리스트와 파일 리스트에 올바르게 보여줍니다.
백업 목록 가져오기(L): 기존 백업된 파일 목록을 백업서버(백업폴더)에서 가져와서 백업 목록을 PC(클라이언트)에 재생성합니다.
컴퓨터 고장으로 시스템을 다시 복구했거나 아이스백업 프로그램을 처음 설치하면 기존에 백업된 백업 정보가 사라지게 되는데 이때 이 기능을 사용합니다.
끝내기(X): 아이스백업 설정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편집]
복원하기(R): 백업된 폴더 및 파일을 복원합니다.
삭제하기(D): 백업된 폴더 및 파일을 삭제합니다.
파일 검색(S): 백업된 폴더 및 파일을 복원합니다.
환경 설정(O): 백업된 파일을 검색합니다.
로그 지우기(L): 로그 정보를 지웁니다.
[도움말]
도움말(H): 아이스백업의 도움말을 보여줍니다.
홈페이지(W): 개발사의 홈페이지를 보여줍니다.
iceBackup 정보(A): 아이스백업의 프로그램 정보를 보여줍니다.
아이콘: 자주 사용하는 주요 기능으로 [새 작업], [작업 수정]
아이콘: [작업 삭제], [새로 고침], [백업하기], [환경 설정] 등이 있습니다.
작업 리스트: 백업 작업할 작업명과 백업 폴더, 백업 주기 등을 보여 줍니다.
로그 리스트: 실시간 백업 또는 정리, 백업 시작, 종료 등의 로고 정보를 보여줍니다.
폴더 리스트: 백업된 폴더의 구성을 보여줍니다.
파일 리스트: 백업된 폴더의 파일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파일 리스트: 각 파일은 다층으로 보여지며 선택한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미리 볼 수 있습니다.
|
|
 |
 |
 |
새작업: 새로운 백업 작업을 설정합니다.
작업 수정: 기존 설정된 백업 작업을 수정합니다.
작업삭제: 기존 설정된 백업 작업을 삭제합니다.
새로고침: 잘못 보여질 수 있는 백업된 폴더 및 파일을 폴더 리스트와 파일 리스트에 올바르게 보여줍니다.
백업하기: 선택된 백업 작업을 즉시 백업하도록 합니다.
환경설정: 백업 위치, 사용자 정보 등에 백업시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설정합니다.
|
|
 |
|
 |
 |
공유폴더로 보내기
동일할 백업 서버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에 파일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탐색기에서 제공하는 공유폴더 기능은 외부 접속에 취약하여 이를 대처하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
 |
 |
바로 백업하기 기능
백업을 지정되지 않은 파일이나 폴더를 윈도우 탐색기 메뉴의 바로 백업하기 기능으로 즉시 백업할 수 있습니다.
|
|
 |
 |
 |
미리 보기 기능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하거나 [팝업메뉴][열기(O)]로 그 파일을 미리보고 복사하거나 다른 이름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
|
 |
 |

 |
파일정리 기능
1. 지정한 개수만 남기고 정리: 백업 파일을 지정 개수만 남기고 정리합니다.
2. 가장 최신 파일만 남기고 정리: 백업된 파일 중 가장 최신에 백업된 파일만 남기고 모두 정리합니다.
3. 선택한 날짜 이전 파일만 정리: 파일 날짜를 기준으로 지정된 날짜 이전 파일을 모두 정리합니다. 최신(마지막) 파일은 지정된 날짜 이전에 백업되었더라도 정리하지 않습니다.
|
|
 |
 |
 |
백업 폴더의 확장자 수집
백업할 폴더를 설정한 후 [버튼]을 클릭하면 백업 폴더의 확장자 정보를 수집하여 파일의 개수 및 파일의 전체 크기 등을 보여줍니다. 이 수집된 정보를 참고하여 제외하거나 포함할 파일 확장자를 지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
|
 |
 |
 |
다수의 백업 대상 폴더 설정
서로 다른 폴더를 각 폴더의 특성에 맞게 설정하여 가장 적합한 파일들만을 백업할 수 있습니다. 문서 작성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문서 폴더의 경우는 문서 파일 확장자(doc;hwp;pdf;ppt;txt;vsd;xls)만을 설정하거나, 개발 소스 관련 폴더의 경우 소스 확장자(c;cpp;def;dsp;dsw) 위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
 |
 |
다양한 필터 설정 기능
1. 백업할 파일 확장자: 백업할 파일의 확장자를 설정합니다.
2. 제외할 파일 확장자: 백업 대상에서 제외할 파일의 확장자를 설정합니다.
3. 반드시 포함할 파일 패턴: 제외할 파일 확장자와는 상관없이 여기에 설정된 파일 패턴은 무조건 백업을 수행합니다.
4. 제외할 폴더: 백업을 원하지 않는 하위 폴더를 설정합니다.
5. 백업할 파일의 최대 용량: 백업할 대상 파일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을 백업에서 제외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
|
 |
 |
 |
작업 형태별 확장자 묶음
미리 설정된 파일 묶음을 이용하여 쉽게 확장자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문서파일 묶음의 경우 hwp, doc, ppt... 등 대표적인 문서파일의 확장자를 모아 놓아서 클릭 한번으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
|
 |
 |
 |
백업 폴더의 확장자 수집
백업할 폴더의 모든 파일의 확장자를 검색하여 확장자별 묶음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공된 전체크기, 개수 등으로 정렬하여 백업할 파일 확장자를 쉽게 제외하거나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
|
 |
 |
 |
자동 파일 정리 기능
① 모든 파일을 유지한다.: 다층으로 백업된 모든 파일을 유지합니다. 실시간 백업에서 이 기능을 이용할 경우 스토리지 용량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② 지정된 개수를 유지한다.: 다층으로 백업된 파일을 날짜 기준으로 최신부터 지정된 개수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삭제합니다.
③ 지정된 작업일까지 유지한다.: 다층으로 백업된 파일을 지정한 작업일까지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삭제합니다. 여기서 작업일이란 백업 작업이 이루어진 날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작업일이 1일, 3일, 10일, 15일 작업을 했다면 작업일은 4입니다. 따라서 작업일이 50이면 매우 긴 시간입니다.
|
|
 |
|
|
|
|
1. 작업 설정: 백업폴더(백업 저장 위치), 백업필터(조건 설정), 배업주기(실시간, 스케줄..) 설정
2. 복원 마법사: 폴더설정, 파일종류, 폴더 옵션 설정
3. 정리하기: 백업한 파일 정리
4. 환경설정: 백업옵션, 위치지정, 사용자정보, 압축방안 설정
|
|
|
 |
 |
1. 작업명을 입력하세요.: 백업할 폴더의 특성을 나타내는 명칭을 입력합니다.
2. 백업할 폴더를 설정하세요.: 입력창에 백업할 폴더를 직접 입력하거나 버튼을 클릭하여 백업할 폴더를 설정합니다.
3. 백업할 하위 폴더: 백업할 폴더를 선택한 경우 기본으로 하위에 모든 폴더를 선택합니다. 백업할 필요가 없는 폴더는 체크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기본 리소스 폴더는 백업 폴더에서 제외된 것입니다.
4. 백업 폴더, 백업 필터 등 다양한 설정 정보를 파일로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기능입니다. 회사 내 동일한 규칙으로 백업을 설정할 경우 최초 설정을 저장하여 다음 설정에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
 |
1. 백업할 파일 확장자: 백업할 파일의 확장자를 설정합니다.
2. 제외할 파일 확장자: 백업 대상에서 제외할 파일의 확장자를 설정합니다.
3. 반드시 포함할 파일 패턴: 제외할 파일 확장자와는 상관없이 여기에 설정된 파일 패턴은 무조건 백업을 수행합니다.
4. 제외할 폴더: 백업을 원하지 않는 하위 폴더를 설정합니다.
5. 백업할 파일의 최대 용량: 백업할 대상 파일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을 백업에서 제외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6. 작업 형태별 확장자 묶음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미리 설정된 파일 묶음을 이용하여 쉽게 확장자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문서파일 묶음의 경우 hwp, doc, ppt... 등 대표적인 문서파일의 확장자를 모아 놓아서 클릭 한번으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7. 백업 폴더의 확장자 수집리스트를 보여줍니다.
백업할 폴더의 모든 파일의 확장자를 검색하여 확장자별 묶음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공된 전체크기, 개수 등으로 정렬하여 백업할 파일 확장자를 쉽게 제외하거나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
|
 |
 |
 |
1. 실시간으로 변경된 파일을 백업: 파일의 변경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파일을 백업합니다.
2. 스케줄 백업: 설정한 주기에 따라 백업 폴더의 모든 내용을 백업을 합니다.
프로그램 시작할 때 마다 변경된 파일 백업: 별도의 주기 설정없이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마다 스케줄 백업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부팅시에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파일 정리: 다층으로 백업된 파일을 일정한 개수로 유지하거나 또는 일정한 작업일로 유지하는 기능
* 모든 파일을 유지한다.: 다층으로 백업된 모든 파일을 유지합니다. 실시간 백업에서 이 기능을 이용할 경우 스토리지 용량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지정된 개수를 유지한다.: 다층으로 백업된 파일을 날짜 기준으로 최신부터 지정된 개수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삭제합니다.
* 지정된 작업일까지 유지한다.: 다층으로 백업된 파일을 지정한 작업일까지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삭제합니다. 여기서 작업일이란 백업 작업이 이루어진 날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작업일이 1일, 3일, 10일, 15일 작업을 했다면 작업일은 4입니다. 따라서 작업일이 50이면 매우 긴 시간입니다.
|
|
 |
 |
 |
1. 복원할 파일 리스트: 복원할 폴더 및 파일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복원에서 제외할 파일(폴더)은 선택한 후 [버튼]을 클릭하세요.
2. 복원에서 제외할 파일(폴더)을 제거하는 데 사용합니다.
3. 복원할 폴더를 설정하세요.: 복원할 대상 폴더를 설정합니다. 직접 입력하거나 [버튼]을 클릭하여 폴더를 설정합니다. 복원시 기존 파일을 덮어쓸 것인지를 정확히 확인한 후 복원하시기 바랍니다. 이전에 복원했던 폴더는 콤보 리스트를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
 |
 |
복원할 폴더를 선택했을 경우 폴더 내 모든 파일 중 문서 또는 특정한 파일만 복원할 수 있는 기능으로 문서파일만 복원하기 위해 문서파일 확장자명을 복원할 파일 확장자에 입력하면 됩니다. (예:doc;hwp;pdf;ppt;xls)
① 복원할 파일 확장자: 복원 대상 파일 중에서 복원할 파일 확장자를 설정합니다.
② 제외할 파일 확장자: 복원 대상 파일 중에서 복원에서 제외할 파일 확장자를 설정합니다.
③ 작업 형태별 확장자 묶음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미리 설정된 파일 묶음을 이용하여 쉽게 확장자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문서파일 묶음의 경우 hwp, doc, ppt... 등 대표적인 문서파일의 확장자를 모아 놓아서 클릭 한번으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
|
 |
 |
 |
복원할 폴더를 선택했을 경우 폴더 내 모든 파일 중 문서 또는 특정한 파일만 복원할 수 있는 기능으로 문서파일만 복원하기 위해 문서파일 확장자명을 복원할 파일 확장자에 입력하면 됩니다. (예:doc;hwp;pdf;ppt;xls)
1. 복원할 파일 확장자: 복원 대상 파일 중에서 복원할 파일 확장자를 설정합니다.
2. 제외할 파일 확장자: 복원 대상 파일 중에서 복원에서 제외할 파일 확장자를 설정합니다.
3. 작업 형태별 확장자 묶음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미리 설정된 파일 묶음을 이용하여 쉽게 확장자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문서파일 묶음의 경우 hwp, doc, ppt... 등 대표적인 문서파일의 확장자를 모아 놓아서 클릭 한번으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
|
 |
 |
 |
1. 백업 옵션
* 백업창 감추기: 백업이 진행될 때 백업 진행창을 감추어 보이지 않게 합니다.
* 백업 후 창닫기: 백업이 완료된 후 백업 진행창을 닫습니다.
2. 복원 옵션
* 복원 후 창닫기: 복원이 완료된 후 복원 진행창을 닫습니다.
* 복원 후 복원 폴더 보여주기: 복원이 완료된 후 복원한 폴더를 윈도우 탐색기로 보여줍니다.
3. 자동 실행
* 부팅시 자동실행: 컴퓨터가 부팅될 때 아이스백업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합니다.
4. 시간 옵션
* 컴퓨터 시간을 표준시간으로 설정: 컴퓨터의 시간이 표준시간과 다를 경우 표준시간으로 설정합니다. 컴퓨터에 시간이 표준시간과 다르거나 자주 변경될 경우 백업된 파일의 파일 시간 정보가 잘못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
 |
 |
 |
1. 로컬 디스크: 백업된 파일을 저장할 위치로 내장형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이동디스크, 네트워크 드라이브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로 공유한 드라이브의 경우 긴 접속시간의 문제 때문에 \\공유폴더 형태로 접근할 수 없도록 하였습니다. 대신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컬디스크에 \\를 입력하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창을 띄워줍니다.
2. 원격서버: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를 설정합니다.
* FTP 주소: 도메인명 또는 주소를 입력합니다.
* 아이디: FTP 접속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 암호: FTP 접속 암호를 입력합니다.
* 포트번호: FTP 접속 포트를 입력합니다.(FTP 기본 포트는 21번 입니다.)
* Passive Mode: FTP 서버에 방화벽이 있는 경우 데이터 포트를 FTP 서버가열어 주는 방식입니다.
* 기본폴더: 백업 파일이 저장될 FTP 디렉토리의 기본 폴더를 설정합니다. (예:/public_html/icebackup_disk/)
3. 최대 할당 용량: 백업된 파일의 전체 용량을 할당하는 기능입니다.
4. 입력된 정보로 FTP 연결을 테스트합니다.
|
|
 |
 |
 |
1. 로그인 정보: 파워버전일 경우 사용자의 정보 보호를 위해 아이디와 암호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이름: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입력된 이름은 공유목록에 표기됩니다.(예:김성완(swkim))
* 아이디: 사용자의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아이디는 중복이 불가능합니다.
* 암호: 아이디에 해당되는 암호를 설정합니다. 암호 분실시 복원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가능한 자주 사용하는 암호를 사용하십시오.
* 확인: 암호를 한번 더 입력합니다. 이렇게 설정된 정보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아래와 같이 로그인에 사용합니다.
* 자동 로그인: 체크하시면 다음부터 로그인 확인을 묻지 않습니다.
* 자동 로그인 해제: [환경 설정][사용자 정보]에서 자동 로그인 체크를 끕니다.
2. 암호변경: 아래처럼 이전 암호를 확인한 후 암호를 변경합니다.
3. 이름변경: 아래처럼 이전 암호를 확인한 후 이름을 변경합니다.
|
|
 |
 |
 |
1. 기본 에디터: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정합니다. 기본 에디터의 사용은 [파일 리스트][파일선택][팝업 메뉴][기본 에디터로 열기]로 사용하게 됩니다.
2. 공통 제외 파일: 백업시 전체적으로 제외할 파일을 설정합니다. 특히 특정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파일(로그 또는 임시 파일) 등을 백업에서 제외할 때 유용합니다. 파일의 특성이 숨김 또는 시스템 파일일 경우도 백업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3. 파일 특성: 백업된 파일의 압축과 암호화를 설정합니다.
* 백업 파일을 압축한다.: 백업된 파일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하여 저장합니다.
* 백업 파일을 암호화한다.: 백업된 파일을 암호화합니다. 이렇게 암호화된 파일은 다른 사용자가 볼 수 없습니다. 특히 백업 서버를 별도로 둔 경우 해킹과 도난시에도 파일을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암호화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압축과 암호화는 백업 속도를 저하시키므로 저사양 컴퓨터에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
 |
|
|